고산윤선도 전시관과 녹우당 이야기
해남읍에서 남쪽으로 4km 쯤 떨어진 고산 윤선도 유적지에는
해남 윤씨 종가인 녹우당과 유물관이 있다.
녹우당은 고산 윤선도의 고택으로, 전라남도에 남아 있는 민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집이다.
ㅁ자형을 이루며 안뜰을 둘러싼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문간채가 여러 동 있고, 집 뒤편 담장 너머에 추원당(제각)이 있으며,
그 동쪽에 해남 윤씨의 중시조인 어초은공 윤효정과 윤선도의 사당이 있다.
집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연못과 정원 등이 가꾸어져 있다.
고산 윤선도는 42세때 봉림대군(후에 효종)과 인평대군의 사부가 되었는데,
효종은 즉위 후 윤선도를 위해 수원에 집을 지어 주었다.
효종이 죽자 1668년 수원 집의 일부를 뜯어 옮겨온 것이 현 고택의 사랑채로,
원래는 이 사랑채의 이름이 '녹우당'이나
지금은 해남 윤씨 종가 전체를 통틀어 그렇게 부른다.
집 뒤 산자락에 우거진 비자숲이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쏴~ 하며 비가 내리는 듯 하다고 해서
녹우당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집은 형식과 규모면에서 호남의 대표적인 양반집으로 인정되어
사적 제167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녹우당에는 윤선도의 종손 14대손 윤형식씨가 살고 있다.
이 곳 유물전시관에는 이 집의 보물 등 4,600여점이 전시되어 방문객들을 위해 공개되고 있다.
대부분 윤선도와 그의 증손인 공재 윤두서와 관련된 것들로,
그 중에는 지정 14년 노비문서(보물 제 483호), 윤두서 자화상(국보 제 240호),
해남윤씨 가전고화첩(보물 제 481호), 윤고산 수적관계문서(보물 제 482호) 등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녹우당 입구에는 500여년 된 큰 은행나무가 있으며
뒷편 덕음산에는 천연기념물 제 241호인 비자나무숲(수령 500년 가량 400여본)이 있다.
주변에 두륜산 도립공원, 대흥사, 송호리 해수욕장, 땅끝마을, 달마산,
우수영 명량대첩지 등이 있다.
* 면적 - 14,268㎡
[제공:대한민국구석구석]
늦었지만 지나가는길에 둘러본다
해설사님의 또렸한 해설로 듣기는 했지만
금방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나이~
어쩔 수 없다
갈길이 먼 우린 또 아쉬움을 남긴다
전시관 이야기
녹우단 가는길
녹우단은 전시관에서 멀지는 않다
바로 근처다
500년이된 은행나무라지요
비자나무숲
우린 주변만 둘러보고 온 이야기
이곳 유적지에는 선생이 시문에 열중하던 해남윤씨(海南尹氏) 종가(宗家)의
고택(古宅)과 녹우당(綠雨堂)(사적 제167호),
그리고 그의 선조 어초은사당(魚樵隱祠堂) 외에 고산사당(孤山祠堂) 및
추원당(追遠堂)이 있고 유물전시관(遺物展示館)에는
윤공재자와상(尹恭齋自畵像)(국보 제240호)을 비롯하여 해남윤씨가전고화첩(海南尹氏家傳古畵帖)
(보물 제 481호), 윤고산수적관계문서(尹孤山手蹟關係文書)(보물 제 482호)
지정(至正) 14년 노비문서(奴婢文書)(보물 제 483호) 등 소중한 유물이 있다.
뒷산 중로에 있는 비자나무숲(천연기념물 제 241호)은
약 500년전 선생의 선조가 이루어 놓은 수림(樹林)으로 알려져있다
==입장료 ===
개인 어 른 1,000원 ,청소년 700원
단체(30명이상) 어 른 700원 ,청소년 500원(청소년,8세~18세)
무료입장 65세 이상 경로,장애인,광주민주화운동,국가유공자
※ 문의 : 고산유적지관리사무소 (☏ 061-530-5548)
고산윤선도 유적지를 뒤로 우리여성트레킹 회원들은
2016년을 전남해남 땉끝에서 시작하고 온 이야기
걷고 보고 였어요
해남 가볼곳 많고 먹거리가 풍성한곳!
조용히 가족여행을 하면 좋을것 같아요
모임이나 단체에서 가면 다 둘러보지도 못하고
오는것 같아 아쉬움이 많지요
춥지만 이렇게 떠나보는것도 좋은 힐링이 될것 같은 해남 땅끝!!
다시 가보고 싶은맘으로 접어요
녹우당
해남읍에서 남쪽으로 4km 쯤 떨어진 고산 윤선도 유적지에는
해남 윤씨 종가인 녹우당과 유물관이 있다.
녹우당은 고산 윤선도의 고택으로, 전라남도에 남아 있는 민가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집이다.
ㅁ자형을 이루며 안뜰을 둘러싼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문간채가 여러 동 있고,
집 뒤편 담장 너머에 추원당(제각)이 있으며,
그 동쪽에 해남 윤씨의 중시조인 어초은공 윤효정과 윤선도의 사당이 있다.
집안으로 들어가면 작은 연못과 정원 등이 가꾸어져 있다.
고산 윤선도는 42세때 봉림대군(후에 효종)과 인평대군의 사부가 되었는데,
효종은 즉위 후 윤선도를 위해 수원에 집을 지어 주었다.
효종이 죽자 1668년 수원 집의 일부를 뜯어 옮겨온 것이 현 고택의 사랑채로,
원래는 이 사랑채의 이름이 '녹우당'이나 지금은 해남 윤씨 종가 전체를 통틀어 그렇게 부른다.
집 뒤 산자락에 우거진 비자숲이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쏴~ 하며 비가 내리는 듯 하다고 해서
녹우당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집은 형식과 규모면에서 호남의 대표적인 양반집으로 인정되어 사적 제167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녹우당에는 윤선도의
종손 14대손 윤형식씨가 살고 있다.
(옮겨온글)
'산행·트레킹·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계방산(1.577m) 한파로 입산금지(통제) 그렇게 추울순 없다 아쉽지만 되돌아설 수 밖에! (강원도 평창군) (0) | 2016.01.25 |
---|---|
겨울 구포둑방길따라 걷고 보고 느껴보자! (부산시 구포동) (0) | 2016.01.18 |
땅끝 해남에서 올해의 시작을 활기차게 열어본다~ (전남 해남군) (0) | 2016.01.15 |
덕유산 눈 없는 산행!! (전북 무주군) (0) | 2016.01.06 |
운수사 계곡의 겨울 이야기 (부산시 사상구) (0) | 2015.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