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공원에서 본 여름꽃 리아트리스꽃 몽실몽실 솜방망이 같아라! (부산 범전동)
리아트리스꽃 이야기
더운날의 공원은 그늘이 없어서 많이 덥다
내가 걸어야 보고 느끼지~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여러해살이풀로 30∼40종이 있다.
뿌리가 굵고 어떤 것은 덩이줄기 모양인 것도 있으며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와서 1m 내외로 자란다.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잎은 솔잎 모양의 가는 잎이 나선형으로 둘러싼다.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에서는 밀생하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성겨지는 것도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통상화(筒狀花)뿐이고 분홍빛이 도는 자줏빛
또는 흰빛으로 수상꽃차례[穗狀花序] 또는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0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속(屬)명.
학명 Liatris
분류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크기 1m 내외
관상 가치가 높은 것은 다음의 4종이다.
① 둥근리아트리스(L. ligulistylis):북아메리카 중부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며
높이 45cm 내외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적자색 두상화(頭狀花)가 산방상 총상꽃차례[揀房狀總狀花序]를 이룬다.
② 애기리아트리스(L. pycnostachya):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잎이 밀생하고 높이 60∼150c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자줏빛 통상화가 길이 30cm 정도의 수상꽃차례로 밀생한다.
③ 방울리아트리스(L. scariosa):미국 남쪽에서 자라며
둥근리아트리스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없거나 간혹 있다.
꽃은 9월에 피고 모여서 반구형(半球形)으로 되며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을 띤다.
때로는 가지 끝에 솔방울처럼 모여 달리기도 한다.
④ 기린리아트리스(L. spicata):멕시코만을 비롯하여 대서양 연안 원산이며
애기리아트리스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의 잎에 털이 없다.
뿌리는 덩이줄기이다.
꽃은 7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수상꽃차례[穗狀花序]를 이룬다. (옮겨온글들)
실을흟트러 놓은것 같은꽃 같은 이야기
멋스런꽃 리아트리스
리아트리스꽃 꽃말 ~~고집쟁이라는 이야기
꽃은 이쁜데 꽃말이 ~~ㅎㅎ 귀여워요
넘 이뻐요
여름엔 많은 꽃을 볼수 없는데 공원에 가면 다양하게핀 꽃을 만날수 있어서 좋은 이야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자주색 또는 분홍빛이 도는 자주색의 두상(頭狀)꽃차례가 모여 달려
마치 키가 큰 수상(穗狀)꽃차례처럼 보인다.
비늘잎처럼 생긴 많은 포(苞)가 꽃을 둘러싼다.
길고 가느다란 잎은 줄기를 따라 어긋나며 수지점(樹脂點)이 나 있기도 하다.
몇몇 종들은 정원의 가장자리용 식물로 심거나 야생화 정원에 심는다.
일부는 단추뱀뿌리(button snakeroot)·미갓털풀(gay feather)·
불꽃별풀(blazing star)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옮겨온글)
더운날에 더위를 잊을 수 있게 해주는것들이 주변에 보면 많다는 이야기
예쁜꽃들이 있어서 즐거운 맘~
자세히 생긴 모양을 보면 웃음도 나온다
오밀조밀 어떻게 만들어져 꽃이 피는지 넘 신기한 이야기
작은 미소를짓게 해주는 꽃 리아트리 이야기 였어요
덥지만 웃는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