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쪽나무 제주올레길 9코스에서 보았다 (제주도 서귀포시)
까마귀쪽나무 이야기
경상남도와 전라남도, 제주도의 표고 700m 이하 해안 및 산록에 자생하는 난대 수종이다.
까마귀쪽나무, 구롬비, 구럼비, 구룬비, 구럼비낭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잎은 거치가 없는 두꺼운 가죽질로 어긋나기를 하고 좁고 긴 타원형이다.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고 광택이 있다. 뒷면에는 갈색털이 모여 나고
가장자리는 뒤로 약간 말린다.
잎의 길이는 8∼15㎝, 너비는 2∼7㎝이다.
잎자루의 길이는 2∼3.5㎝이다.
암수딴몸으로 꽃은 우산꽃차례로 달리며 10월에 핀다.
총포는 3∼4개로 바깥 면에 갈색털이 있다.
화피와 포린은 6개로 깊게 갈라지고 담녹색이다.
수술은 9∼12개이다. 암꽃의 수술은 퇴화되었다.
암술대는 길고 암술머리는 2열로 되어있다.
열매는 핵과이며 다음해 7∼8월에 자색으로 익는다. 열매의 길이는 1.5∼1.8㎝,
지름은 1.2㎝로 타원형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난다.
내염성에 강하여 해풍이 미치는 해변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은 약하며 내음성과 내건성은 보통이다.
생장속도는 느리고 이식이 쉽다.
(옮겨온글들)
▽
하늘을 향해 두손모아 기도하는듯 보이는 이야기
싹은 어느싹이나 넘 신비스럽고 예쁜것 같다는 이야기
가마귀쪽나무
제주도 등 해안지방의 가로수로 유명한 수목이다.
바닷바람에 강하고 어릴 때는 생장속도가 빠르므로 해변의 방풍림이나
방조림 조성에 적합한 수종이다.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특허 출원이 다수 있다.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항염활성 및 골대사 관련인자 억제 활성 등에 관한 것들이 특허의 내용이다.
까마귀쪽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에 대한 전통지식에 관한 연구도 다수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