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엽이야기
자주색 깻잎같은 소엽은 어릴적 한약방을 하시던 울 할아버지
약방앞 텃밭에 있었던 기억이 난다
꼭 깻잎같은데 색이 다르다
어릴적 기억으로 담아보았다
자소엽 효능^^*
해열작용, 건위작용, 억균작용, 방부작용, 풍한표증(風寒表證),
비위의 기가 막혀 헛배가 부르고 그득한데, 토하고 설(泄:싸다, 누다, 설사), 한담(寒痰), 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찬데, 임신부의 구토, 기체(氣滯)로 인한 태동불안(胎動不安)→(백출이 제일 좋다)
물고기중독, 발한, 진해, 생선 식중독, 보온, 감기를 다스린다
소엽(차조기)-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분류 꿀풀과
원산지 중국
크기 높이 20∼80cm
중국이 원산지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80cm이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자줏빛이 돌며 향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긴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은 털이 있고 2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 중 위쪽 것은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조각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짧은 통 모양이고 끝이 입술 모양을 이루며,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약간 길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에 2개가 길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둥글며 지름이 1.5mm이고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잎을 소엽, 종자를 자소자(紫蘇子)라고 하여
발한·진해·건위·이뇨·진정 및 진통제로 사용한다.
생선이나 게를 먹고 식중독에 걸렸을 때 잎의 생즙을 마시거나 잎을 삶아서 먹는다.
차즈기에 들어 있는 페릴알데히드로 만든 설탕은 정상 설탕보다 2,000배 정도 강한
감미료이므로 담배·장·치약 등에 사용한다.
잎이 자줏빛이 아니고 녹색인 것을 청소엽(for. viridis)이라고 한다.
청소엽은 꽃이 흰색이고 향기가 차즈기보다 강하며
약재로 많이 사용한다.
깻잎 향이날것 같은 이야기
태백분주령 갔을때 막국수집 가는길에 있는 소엽
마을회관 근처
자소엽 효능
해열작용, 건위작용, 억균작용, 방부작용, 풍한표증(風寒表證),
비위의 기가 막혀 헛배가 부르고 그득한데, 토하고 설(泄:싸다, 누다, 설사),
한담(寒痰), 으로 기침이 나고 숨이 찬데, 임신부의 구토,
기체(氣滯)로 인한 태동불안(胎動不安)→(백출이 제일 좋다)
물고기중독, 발한, 진해, 생선 식중독, 보온, 감기를 다스린다.
차조기잎의 다른 이름은 자소엽(紫蘇葉: 약성론(藥性論)],
소엽[蘇葉: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적소(赤蘇:보결주후방(補缺肘後方)],
자소[紫蘇: 식료본초(食療本草)], 추자소[皺紫蘇, 첨자소: 尖紫蘇, 紅紫蘇: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차조기, 차즈기, 약깻잎, 자색 깻잎 등으로 부른다,
차조기의 줄기의 다른 이름은 자소경[紫蘇梗: 본초몽전(本草蒙荃)],
자소경[紫蘇莖:뇌공포구론(雷公炮口灸論)], 소경(蘇梗): 약품화의(藥品化儀)],
자소간[紫蘇桿: 호남약물지(湖南藥物지)] 등으로 부른다.
'꽃·나무·잎·열매·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퉁불퉁한 여주가 좋다고 하는 이유? [좋은점]~ (경남 울산시) (0) | 2015.08.08 |
---|---|
탱자가 탱긍탱글 열린 회야댐 가는길! {탱자가 좋은점!} (경남 울산시) (0) | 2015.08.08 |
태백산의 비경 분주령은 야생화천국 지금가면 만날 수 있어요! (강원도 삼척시) (0) | 2015.07.25 |
무궁화꽃이 피였습니다 일편단심*끈기*삼천리강산에 무궁화꽃이 삼락생태공원에! (부산 사상구) (0) | 2015.07.19 |
삼락공원의 질경이들 흐드러지게 많아라~ 질경이가 좋은점! (부산 사상구) (0) | 201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