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랑 감이랑 이야기
추석명절이 얼마 남지 않았다
요즘 가을 열매들이 한참 커가고 있고 익어갈 준비를 하고 있다
담장에 고개를 내밀며 익어가는 무화가랑 감이 탐스러워서
살며시 미소로 담아본다
무화과
동의보감과 본초강목 등에는 체내 독 제거와 위장질환·빈혈·치질 개선,
소화 촉진,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매 식사 전후 3개씩 하루에 9개 이상씩 먹으면 웬만한 악성 변비는
24시간 만에 탈출할 수 있고 이는 양질의 섬유질이 많기 때문으로
임상실험에서도 입증되었답니다.
무화과의 효능에 관한 용역연구를 진행 중인데요.
변비가 개선되면 장이 깨끗해져 자연히 피부도 고와진다고 지며
무화과에 많이 들어 있는 라노스테롤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은 소화를 촉진하며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은
노화를 지연시킨답니다.
무화과에는 항암물질인 벤즈알데하이드도 다량 함유되어있어 암환자에게도
좋습니다.
무화과는 뽕나무과 (Mo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키는 2-6m까지 자란다.
잎은 마치 손바닥모양으로 3-5개로 깊게 갈라져 있으며
꽃은 여름에 핀다.
무화과라는 이름은 꽃이 꽃받기(화낭)속에 숨어 있어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과실은 은화과(隱花果)로
가을에 황색 또는 흑자색으로 익는다.
무화과는 생으로 먹으며 말려서 또는 잼으로 하여 먹기도 한다.
<성분․효능>
무화과의 당분은 대부분 과당 포도당이며 유기산이 0.1~0.2% 들어있다.
무화과의 특이한 성분은 암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와 단백질 분해효소 작용을 하는
휘신(Ficin) 이라는 물질이다.
고대 이집트나 로마, 이스라엘 등에서 무화과는 암, 변비, 치질, 종기, 간장병 등에
이용되어 왔고 오랜 병고에 시달린 사람에게 권장되었으며
강장제로도 널리 이용되었다.
종기가 나거나 부어오른곳에 무화과 습포를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암에 대한 무화과의 효과도 실험적으로 증명되고 있는데
실험된 암환자의 55%에서 차도를 보였다고 한다.
무화과 나무잎을 치질에 이용하기도 한다.
그늘에서 말린 무화과 나무잎에 뜨거운 물을 붓고 그것을 끓인 후 적당히 식힌 후
면 헝겊에 살짝 적셔서 치질의 환부에 댄다.
식으면 다시 따뜻하게 하여 여러번 반복한다.
하루에 한차례씩 실행하면 서서히 차도가 보이게 된다.
무화과는 고기를 연하게 하는 연육제로도 이용된다.
단백 분해 효소인 휘신(Ficin)이 있어서 무화과로 고기를 재어두면
고기도 연해지고 맛도 좋아지는데
먹기 직전에 바로 하면 효과를 볼 수 없다.
(옮겨온글)
대봉감은 언제 익으려나
대봉감이 잘 자라고 있는 이야기
탐스런 무화과 익어가는 시골집 고향 이야기
익은걸 따서 먹어보니 넘 맛낫어요
꽃이 없이 열매가 열리는 무화가 신기한 열매지요
무화과에는 꽃이 피지 않고 열매가 열린다 하여 ...
무화과 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물론 꽃은 핀답니다..
다만 일반적인 시각으로는 확인이 안되서
그렇게 보이는것
뿐이랍니다.
무화과의 효능 !!
소화촉진 및 변비, 주독이나 어독에 효과가 있다.
동의보감에 아주 소중히 여겨왔으며,
혈압강화, 건위, 자양, 변비, 간장염, 암, 부인병 활력회복등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대 이집트와 로마·이스라엘에서는
강장제나 암·간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다.
약으로 쓰고, 주산지에서는 생즙을 치질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데 쓴다.
인후통을 낫게 한다"고 그 효능이 기재되어 있다.
맛은 인후를 유화하게 해 줘서 뇌흉을 열고,
간에 들어가서 혈맥의 흐름을 좋게하고 눈을 맑게 해준다" 고 그 효능이 기재되어 있다.
염작용,
소중작용, 소화촉진등이 있으며,그밖에 구충약과 황달에 쓰인다.
임퍼육종에 유효했다는 보고가 있다.
무화과는 병충해에 강하며 어린 새순도 깨끗하게 자라며,
농약을 하지 않고 공해 없는 자연속에서 자라는 자연건강식품이다.
끓인 다음 이물에 환부를 넣고 견딜만한 정도로 식혀서 환부를 약 20분동안 담구어 찜질하며,
무좀 및 사마귀 제거에는 나무가지나
잎에서 생즙을 내어 바르면 낫는다.
이질 ㆍ 변비 ㆍ 장염 ㆍ 치질 ㆍ 부스럼 등에 하루 30 ∼ 60g을 달여 먹는다.
목욕을 하든가 좌욕(항문욕)에 이용한다
.
손등에 생긴 납작하고 단단한 사마귀(청년성 편평우췌)에 자주 흰 즙을 바른다.
물에 불린뒤 돌기를 도려낸 다음 흰 즙을 바른다.
(생과는 실제로는 과실이 아니라 숙성한 화낭이다)
하루 2 ~ 3회씩 5 ~ 6일
잎은 달여서, 열매는 생식으로 복용한다.(옮겨온글)
'꽃·나무·잎·열매·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지도 연대도에서 본 꽃들! (경남 통영시) (0) | 2015.09.07 |
---|---|
시누이 집에서 키우는 황칠나무가 열매를 맺고 있어 귀한몸 대령이요~ 좋은점은? (전남 장성군) (0) | 2015.09.02 |
오가피가 익어가는 시골집 텃밭 담장 오가피의 좋은점** (전북 고창군) (0) | 2015.09.01 |
벌초길에 만난 노란색 마타리꽃이 가을을 알려요!! (전북 고창군) (0) | 2015.09.01 |
남이섬 항아리화분에 꽃 고풍스럽고 풍요롭고 멋지고 이쁘다~ (강원도 춘천시) (0) | 2015.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