곶자왈 이야기
곶자왈을 구성하는 암괴와 미기복은 지하수 함양(涵養)은 물론 보온보습 효과를 일으켜
열대식물의 북방한계 식물과 한대식물의 남방한계 식물이 공존하는 독특한 숲을 만들고 있다.
곶자왈은 생태계의 허파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한라산과 해안지대를 연결하고 있어
생태계의 가교 역할도 수행한다.
이곳에는 이끼류, 양치류, 초지성 식물, 화초류, 수목(침엽수, 활엽수), 습지(물웅덩이)가 발달하여
방목중인 가축들이 물과 먹이를 확보할 수 있고 풍우설(風雨雪)을 피할 수 있었던 장소였기 때문에
목축을 위해 중요한 공간이었다.
곶자왈 지대는 토양발달이 지극히 미약한 곳으로 아아 용암류라고 불리는
특이한 용암류로 뒤덮여 있다.
아아 용암류는 표면이 거친 암괴모양의 용암을 말하는데
이 아아 용암지대가 곶자왈 지대를 이루고 있어 아아 용암은 곶자왈 용암이라고도 부른다.
곶자왈 용암이 분포하는 지역의 이름을 따서
서부지역의 한경~안덕 곶자왈 지대와 애월 곶자왈 지대,
동부 지역의 조천~함덕 곶자왈 지대와 구좌~성산 곶자왈 지대로 구분하고 있다. 용암은
그 특성상 토양 발달이 빈약하여 선구 식생이 정착하기 어렵고 식생의 천이 속도도 느려
지금과 같은 숲으로 발달하는 데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곶자왈은 암괴로 이루어진 장소이므로 땅이 척박하여 경지로 이용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방목에도 적절하지 않아 대부분 방치되어 덩굴이 엉클어진
자연림 지대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 이 곶자왈 지대는 ‘제주의 허파’ 또는 ‘자연의 허파’등과 같이
인간의 허파에 비유되면서 ‘제주 생태계의 생명선’으로 강조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곶자왈은 과거 불모의 땅으로 인식되었지만 오늘날에는 지하수의 함양기능을 비롯하여
한라산과 해안지역사이의 환경적인 완충기능 그리고 조망을 중심으로 하는
위락 관광 자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글)
곶자왈 예전과 많이 다른것 같다
전엔 조형물들이 없었는데 좀 달라진것 같아 아쉽다는 이야기
우리는 올레길을 걷고 둘거보기에 천천히 둘러보지는 못하고 눈인사만 한다
많이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일
볼거리가 많고 아름다운 제주도 그리고 올레길 8~9코스도 넘 좋다는 이야기
곶자왈이란**
화산이 분출할 때 점성이 높은 용암이 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로 쪼개져
형성된 제주도만의 독특한 지형을 말한답니다
곶자왈은 나무·덩굴식물·암석 등이 뒤섞여
수풀처럼 어수선하게 된 곳을 일컫는 제주도방언입니다 (옮겨온글)
'제주·올레길·걷고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박나무 새싹 넘 이뻐서 담아온 이야기**(제주도 서귀포시) (0) | 2016.04.19 |
---|---|
제주도의 드넓은 오설록 녹차밭은 지금 푸른물결로 환상적이다*눈이 맑아지는듯!(제주도 서귀포시) (0) | 2016.04.18 |
제주올레 9코스 걸어보며 봄 즐겨보자! (제주도 서귀포시) (0) | 2016.04.16 |
제주올레길 8~9코스 걷고 보고 느끼고!! 덥기 전에 걸어봐요~넘 좋아요 (제주시 중문단지) (0) | 2016.04.15 |
제주올레7코스의 또다른 멋! 신비한 절경 강정천 주상절리대~ (제주도 서귀포시) (0) | 2016.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