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이야기
백제 문주왕 시절의 산성, 공산성 *
공주 시내 산성동에 있는 공산성은 백제 문주왕 1년(475)에 한산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가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성이다.
사적 제12호인 공산성은 총 연장 2,660m의 고대 성곽으로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의 요지이다.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약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원래는 백제시대의 토성이었던 것을 조선시대 때 석성으로 다시 쌓은 것이다.
성 안에는 웅진 도읍기로 추정되는 왕궁지를 비롯해 백제시대 연못 2개소,
고려시대 때 창건한 영은사, 조선시대 인조대왕이 이괄의 난을 피해 머물렀던 쌍수정과
사적비, 남문인 진남루, 북문인 공북루 등이 남아 있다.
동문과 서문은 최근에 복원하였으며 주변에는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 공산성은 역사와 문화가 함께 정이 깃든 수려한 자연이 있기 때문에
더욱 가치있게 보여지고 있다.
허락받고 올린 이야기
멋진 남학생께 감사한 맘
숨차게 올라왔다
우와!!
금강의 아름다운 부잔교와 모형배들...멋지다
사진 찍기 좋은곳
금강과 주변 이야기
공산성 성곽길이다
금강줄기와 함께하니 조망이 아주 멋지다
바람에 떨어진 도토리들...
축제기간이라서 학생들이 이렇게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주하면 공산성 ,,꼭 함 걸어보시길
축제여서 음악소리가 울려퍼지니 귀가 즐거운 시간이였다
블로그에 올려도 된다고 허락은 받았지만....감사한 마음에
* 공산성의 유래 *
공산성은 백제시대 축성된 산성으로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불렸다가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475년(문주왕 1) 한산성(漢山城)에서 웅진(熊津)으로 천도하였다가, 538년(성왕 16)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당시의 중심 산성이었다
공산성 서쪽에 위치한 정각, 공산성 쌍수정(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9호/1984.05.17 지정)
쌍수정은 공산성 진남루 부근의 서쪽 고지대에 위치한 정각이다.
원래 그 터는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공산성 파천시 머물렀던 장소이며,
이 곳에는 두 그루의 나무가 있었다.
인조는 환도시 쌍수에 정3품 대부작을 하사하였는데
그 후 나무는 죽고 구적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으므로,
유지를 기념하기 위하여 관찰사 이수항이 영조 10년에 쌍수정을 건립한 것으로 전한다.
그 후 정조 11년, 고종 7년, 1947년에 걸쳐 중수되어 오다가
1970년에 건물은 전면 해체되고 새로이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구석구석]
#공주 #공산성 #성곽길 #축제기간
'산행·트레킹·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천]수도산 청암사 극락전 인현왕후가 3년동안고통의 페위 세월을 보냈던곳 (경북 김천시) (0) | 2018.09.26 |
---|---|
[공주]금강의 미르섬 부잔교 걷고 주변 둘러보기 밤엔 유등축제 불빛이 아름답다고해 (충남 공주시) (0) | 2018.09.25 |
[부여]백마강 구드래 코스모스꽃길 흐드러지게펴 가을정취 듬쁙!! (충남 부여군) (0) | 2018.09.24 |
[부여]백제역사문화관 아이들 손잡고 도시락 준비해 가보면 좋을듯! (충남 부여군) (0) | 2018.09.24 |
[부여]위례성.제향류.생활문화마을.다 둘러볼수없어 아쉬움남아 또 가보리라 (충남 부여군) (0) | 2018.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