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에핀 해바라기 꽃 이야기]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한국 전역에 널리 심고 있다.
키는 2~3m에 달하며 전체에 가늘고 억센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큰 난형(卵形)의 잎은 길이가 10~30㎝로서 어긋나는데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총포(總苞)는 반구형이며 각각의 포편(苞片)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억센 털이 많이 있다.
꽃은 8~9월경 한 방향을 향해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는데 지름이 25㎝에 이른다.
꽃은 황색의 꽃잎이 길게 밖을 향해 뻗은 설상화(舌狀花)와, 암술과 수술이 있으며
중앙 부위에 밀집되어 있는 암자색 또는 갈색의 통상화(筒狀花)로 이루어져 있다.
열매는 2개의 능선이 있는 둥근 난형으로 길이가 1㎝ 내외이고 검은 줄무늬가 있다.
해바라기의 어원은 '꽃이 해를 향해 핀다'라는
뜻의 중국어 향일규(向日葵)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이름 'sunflower'는 'helios'(태양)와 'anthos'(꽃)의 합성어인
속명(屬名) 헬리안투스(Helianthus)를 번역한 것이다.
이 꽃은 현재 페루의 국화[國花]이자 미국 캔자스 주의 주화(州花)이다.
해바라기는 씨에 20~30%의 종자유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식용·비누원료·도료원료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한방에서 구풍제·해열제로도 쓰인다.
해바라기의 품종은 관상용과 종자용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씨를 얻고자 러시아에서 많이 심고 있으며 유럽의 중부와 동부,
인도, 페루, 중국 북부에서도 많이 심는다.(李相泰 글)
여기저기서 해바라기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난 밭두렁에서 논두렁에서 핀 해바라기를 담아본 이야기
해바라기 울타리가 돼버린 밭두렁 큰 규모는 아니지만 초라해 보이진 않았다
요즘은 해바라기가몸에 좋다고해 많은 사람들이 해바라기를 좋아한다
블로그에 해바라기 사진이 많이 올라오는데 그건 많이 심어서 축제을 알리기 위함인거구요
저는 그냥 논두렁에서 핀 해바라기꽃 이라는 이야기
해만 바라보며 따라간다는 해바라기 꽃
해바라기의 꽃말은 그리움이다.
그리스로마신화를 살펴보면, 태양의 신 아폴론을 사랑한 요정 크리티가
자신의 사랑을 받아 주지 않은 아폴론을 그저
바라보고만 있다가 그대로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중앙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 기후에 알맞아 전국에서 재배한다.
아무데서나 잘 자라며 특히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있는 과습지가 좋다.
한여름의 강렬한 태양과 푸른 하늘 아래 굵은 줄기와 노랗게 탐스럽고 커다란 잎은
매우 인상적이다.
속명인 Helianthus는 태양과 꽃의 합성어이고 종소명인 annuus는 한해살이란 뜻으로
'태양의 꽃' 또는 '황금꽃'이라 부른다.
해바라기의 꽃 말은 그리움이라는 이야기
논두렁에 피여서 아름다움을 맘껏 자랑하는 해바라기 꽃
해바라기꽃 좋은 공기 마시며 맘대로 커 꽃송이가 엄청크다는 이야기
큰 쟁반같은 해바라기꽃
어찌저리 고운색이 나왔을까 궁금한 이야기
오밀조밀 엉켜 넘 귀여운 꽃 피기전 앙증스러운 이야기
화려하고 우아한 해바라기꽃
꽃말은 그리움이라는 이야기
꽃속에서 꽃이피는 해바라기꽃 넘 멋진꽃
꽃말이 그리움이래요
논두렁에 피였지만 지나가는 사람들 발걸름을 멈추게 하는 해바라기꽃
그냥 지나치려니 이뻐서 담아 온 이야기
지금 공항뒤로 가면 해바라기꽃이 많이 피였다는 이야기
해바라기 꽃말의 유래
물의 님프인 크라이티는
태양신 아폴로를 매우 사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열렬한 사랑에도 불구하고 아폴로쪽은 그녀를 전혀 거들떠보지 조차 않았습니다.
그녀는 어떻게 해서든 자기의 애타는 심정을 호소하려고 온갖 방법을 모두 시도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워낙 잘 생긴 데다가 미녀들이 많은 환경 속에서 살고 있는
아폴로에게 있어 일개 님프 따위는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절망한 크라이티는 머리를 풀어헤치고 온 종일 추운 땅에 앉아 울었습니다.
아흐레 동안 식사도 하지 않고, 물도 마시지 않고 꼬박 앉아 있었습니다.
목을 축이는 것이라고는 자기의 눈물과 밤이슬 뿐이었습니다.
그녀는 아폴로인 태양이 동쪽하늘에 모습을 보였다가 하늘을 이동하여
이윽고 서쪽으로 기울어질 때까지 눈물을 눈 가득히 고인 채 꼬박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다른 것은 아무 것도 보지 않고 아폴로만 보고 있었습니다.
이렇게 아흐레 동안이 지나자 어느새 그녀의 발은 땅에 붙어 버리고,
얼굴은 하나의 꽃이 되었습니다.
이것이 해바라기이며 지금도
그래서 태양쪽만 향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1년생초. 중앙 아메리카가 원산지이고
한국 전역에 널리 심고 있다.
키는 2~3m에 달하며 전체에 가늘고 억센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큰 난형(卵形)의 잎은 길이가 10~30㎝로서 어긋나는데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총포(總苞)는 반구형이며 각각의 포편(苞片)은 달걀 모양의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억센 털이 많이 있다..
꽃말: 그리움
옛날, 바다의 신에게는 두 딸 '그리디'와 '우고시아'가 있었답니다.
이들은 해가 진 후부터 동이트기 전까지만 연못 가에서 놀도록 허락을 받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들은 놀기에 정신이 팔려 해가 뜬 것도 모르고 놀았는데 태양의 신
아폴로가 빛을 발하자 지금까지 보지 못한
황홀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언니는 자기만 아폴로의 환심을 사려고 동생이 규율을 어겼다고 모함을 했지만,
마음씨 나쁜 언니를 아폴로는 거들떠보지도 않았습니다.
언니는 아홉 날 아홉 밤을 선 채로 그의 사랑을 애원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발이 땅에 뿌리를 내려 한 그루
해바라기'로 변해버렸습니다.
꽃말 : 애모, 당신을 바라봅니다.
숭배합니다
한여름의 강렬한 태양 아래서 커다란 꽃을 탐스럽게 피운 모습은 신선하고 열정적이다.
태양을 따라 고개를 돌리면서 꽃을 피우는 이 꽃을 그리스 신화에서는 태양의 신 아폴론을 사랑한 요정
크리티가 자신의 사랑을 받아 주지 않은 아폴론을
그저 바라보고만 있다가
그대로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그래서 꽃말은 '애모', '당신을 바라봅니다'이다. (옮겨온글들)
'꽃·나무·잎·열매·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동산의 무궁화꽃이 피였습니다~ 꽃말 일편단심* 섬세한 아름다움! (부산 강서구) (0) | 2014.07.27 |
---|---|
쓴맛이 강한 고들빼기로 잃어버린 여름 입맛 찾아보세요? (부산 강서구) (0) | 2014.07.27 |
명사십리 해당화는 아니지만 흔하지 않는 해당화 열매! 용원바닷가옆 (부산 녹산) (0) | 2014.07.21 |
바람에 흔들리는 소세지 같은 부들! 먹고싶은 맘* 신기한 식물 (부산 강서구) (0) | 2014.07.20 |
돌외 넝쿨식물 ~ 말려서차로마실 수 있고 쓰임새도 좋아! 잎은인삼잎 같아라~(부산 강서구) (0) | 201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