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나무·잎·열매·모음

나주 산림자원연구소에서 본 귀한 크리스마스의( 호랑가시나무)빨간열매! 좋은점* (전남 나주시)

구염둥이 2015. 12. 25. 14:34

호랑가시나무 빨간열매 이야기

 

구골목(枸骨木)이라면 아는 사람이 별로 없으나

크리스마스철에 장식용으로 널리 쓰는 잎이 육각꼴이고 가시가 많고

 빨간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면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구골목을 우리나라 말로는 호랑가시나무라고 하며

 서양에서는 홀리(Holly)라고 부른다.

호랑가시나무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육각 꼴의 잎결각 끝에 붙은 날카로운 가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이가 이 나뭇잎에 붙은 가시로 등을 긁는다 하여

‘호랑이 등긁기 나무’라고 부르다가 ‘호랑가시나무’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이 나무의 가시가 고양이 발톱을 닮았다 하여

 묘아자(猫兒刺) 또는 늙은 호랑이의 발톱을 닮았다 하여 노호자(老虎刺)라고 부른다.

 

구골목이라는 이름은 나무 줄기가 개뼈를 닮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우리나라에는 음력 2월 영등날에 호랑가시나무를 꺾어서 정어리의 머리에 꿰어

 처마 끝에 매달면 나쁜 잡귀가 물러간다는 풍속이 있다.

 정어리의 눈알로 귀신을 노려 보다가 호랑가시나무의 가시로 눈을 찔러

귀신이 오지 못하도록 한다는 뜻도 있고,

잘못 들어오면 정어리처럼 눈을 꿴다고 귀신에게 경고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서양에서는 이 나무를 신성하게 여긴다.

 예수가 골고다 언덕에서 가시관을 쓰고 이마에 피를 흘리며 고통을 받을 때

그 고통을 덜어 주려고 날카로운 가시에 몸을 던진 작은 새가 있었다고 한다.

 로빈이라고 하는 이 작은 새는 예수의 머리에 박힌 가시를 부리로 뽑아 내려고

애쓰다가 자신도 가시에 찔려 죽게 되었다.

바로 이 로빈새가 호랑가시나무의 열매를 잘 먹기 때문에 서양사람들은

이 나무를 귀하게 여기게 되었고

성탄절에 장식용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기독교가 널리 퍼지기 전인 로마시대에도 로마인들은 이 나무를 집 안에 심으면

 재앙이 없어지고 기쁜 일이 생긴다고 믿었다.

 로마시대의 이름난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이 나무의 꽃을 물에 던지면 물이 엉키고,

이 나무로 만든 연장을 짐승에게 던지면 힘이 모자라 맞히지 못하더라도

 다시 주인의 손으로 돌아오는 나무라고 하였다.

구골목은 갖가지 뼈질환에 양약이다. 골절, 골다골증, 류머티스 관절염, 요통 등에

 신기한 효력을 발휘한다.

빨갛게 익은 열매, 잎, 줄기, 뿌리 등 전체를 약으로 쓴다.

 열매를 약으로 쓸 때는 겨울철에 빨갛게 잘 익은 열매를 따서 35도 이상 되는

소주에 담가 두었다가 6개월 뒤부터 하루 3번 기분 좋게 취하지 않을 만큼씩만 마신다.

 근육과 뼈마디가 쑤시는 병, 온몸이 노곤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세 등에 효력이 대단하다.

 

 

 

 

넘 특별한 열매 보기힘든 열매 넘 멋스런 이야기

나주 산림자원연구소

 

 

크리스마스 이브날에 본 호랑가시나무열매

정말 특별한 날에 특별히 본것 같아 행복한 이야기

 

 

 

특별한날에 특별한곳에서 특별하게 본 호랑가시나무 열매

예쁘다

 

 

 

호랑가시나무 열매

 

호랑가시나무에는 노란호랑가시나무와 호랑가시나무가 있으며

완도 호랑가시나무 양호랑가시나무가 있다.

 남부지방에는 호랑가시나무와 닮은 나무가 있다.

 

 호랑가시나무는 감탕나무과이지만 구골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상록관목이다.
구골나무의 줄기도 개뼈를 닮았다 하여 구골나무라한다.

 맛도 서로 비슷하여 호랑가시나무는 맛이 쓰고 서늘하며 구골나무는 약간 쓰고 서늘하다.

가시도 '호랑이 발톱'이라고 부른다.

 

효능도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서 허리와 무릎의 뼈와 근육에 활력을 높여준다.

 외용으로는 종기에 잎을 짓이겨 붙인다.
또한 백일해에는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면 좋은 효험이 있다.

 구골목과 구골나무 모두 간장과 신장을 보하며 관절염,

 허리와 무릎아픈 것을 낫게 한다.

 

 노란호랑가시나무는 열매가 노랗게 익으며 호랑가시나무는 열매가 빨갛게익고

 구골나무는 열매가 자흑색으로 익는다.

 양 호랑가시나무는 검은 적색의 열매가 열린다.

두 가지 모두 귀한 약나무이며 남부지방에서는 종류에

 관계없이 약용으로 사용한다

(피의사재님글)

 

 

 

 

완도호랑가시나무도 있다고 하는 이야기

전남 나주산림자원연구소에 자라고 있는건~~종류는요?

 

 

 

 

호랑가시나무 열매에는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양기를 늘려 주는 성분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도 자양강장제

또는 해열제로 더러 쓴다.

 

잎이나 줄기, 뿌리를 약으로 쓸 때에는 잘게 썰어서 가마솥에 넣고 물을 많이 붓고

24시간 이상 뭉근하게 달인다.

 대략 약재 2근(1천2백 그램)에 물 다섯 되(9천cc)쯤이 적당하다.

이렇게 달인 물을 수시로 조금씩 마시면 골다공증,

무릎이 쑤시고 다리에 힘이 없는 증세, 신허로 인한 요통, 류머티스 관절염 등에 효력이 크다.

 오래 복용하면 뼈가 튼튼해지고 정력이

좋아지며 오래 살게 된다.

 

호랑가시나무 잎으로 만든 차를 구골차라고 부르는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없애는 약차로 이름이 높다.

호랑가시나무 잎을 따서 그늘에서 말린 것 15~30그램을 뜨거운 물로

 10~30분쯤 우려내어 수시로 마시면 된다.

구골차는 기와 혈을 돕고 폐의 진액을 늘리며 간을 튼튼하게 하고

풍습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 한다.

<본초경소>라는 중국 의학책에는 호랑가시나무 잎이 기침을 나게하는 효능에 대해

“잎을 달여 마시면 담화(痰火)를 치료하는 데 특효가 있다.

무릇 담화는 모두 음허화염(陰虛火炎)이 폐에까지 차올라 진액이 말라서 생기는 것이다.

호랑가시나무 잎은 족소음경으로 직접 들어가 보양음기(補養陰氣)하므로 담화가 스스로 없어지니

마치 끓는 가마솥 밑에서 나무를 끄집어 내는 것과 같다.

”고 적혀 있다.

호랑가시나무에는 카페인, 사포닌, 탄닌, 쓴맛 물질 등이 들어 있다.

성질은 평하며 맛이 달고 간, 신장, 폐에 작용한다.

호랑가시나무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의 해안가에 자생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나 가로수 또는 울타리용으로 흔히 심는데

 특히 제주도에 많다.

 변산반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호랑가시나무 군락이 있다.

호랑가시나무는 사람들에게 그 효용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갖가지 뼈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귀한 약나무이다.
(글/ 한국토종약초연구소 회장 최진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