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가리골 이야기
1박을 하고 이동 찾아온 아침가리골^^
아침 가리골은 물이 맑다는 이야기
아침가리골
강원 인제의 방태산 기슭에 숨어있는 산마을을 일컫는 말이다.
3둔은 산속에 숨은 3개의 평평한 둔덕이라는 뜻으로
방태산 남부 홍천 쪽 내린천을 따라 있는 살둔(생둔), 월둔, 달둔이 그곳이요,
4가리는 네곳의 작은 경작지가 있는곳을
일컫는데 북쪽 방대천 계곡의 아침가리, 적가리, 연가리, 명지가리를 두고 그렇게 부른다.
옛날 정감록에서 "난을 피해 편히 살 수 있는 곳"이라 지칭된 곳으로
지금도 그 오지의 모습이 여간 만만치 않다.
6.25전쟁때도 이곳 만큼은 군인들의 발길이 전혀 미치지 않았다고 하고,
전쟁이 난 줄도 모르고 살았다니
그 심산유곡의 깊이를 가름할 만하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곳이 아침가리다.
아침에 잠시 밭을 갈 정도의 해만 비치고 금세 져버릴 만큼
첩첩산중이라 해서 지어진 이름인데 숨겨진 깊이만큼 여태도 봄이면
이름모를 야생화 천국이 되고 여름이면 한기가 느껴질 정도로
시원한 피서지가 되어주는 곳이다.
아침가리골은 계절마다 분위기는 다르지만 봄과 여름에 특히 볼만하다.
바닥까지 비치는 투명한 옥빛 계류 속에서 노니는 물고기떼,
색과 무늬가 다양한 바위와 조약돌이 깔린 모래톱 한굽이를 돌 때마다
펼쳐지는 절경에 심취한다.
특히 아침가리골의 중간지점에 조경동이 있는데,
이곳에서 부터 방동리 갈터로 이어지는 15km의 조경동계곡이 이어진다.
작은협곡 사이로 흐르는 맑은 물과 계곡을 따라 펼쳐진 원시림은
우리나라의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비경을 자랑한다.
아침가리골의 시작점은 군내버스의 종점이기도 한 기린면 진동리 마을회관 앞이다.
계곡을 건너 골에 들어섰다는 것은 알면서도 사람들의 발길에 다져진 길이 없어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흐르는 물길들이 쉬어가기 위해 만들어 놓은
소와 탕을 따라 양쪽의 돌무더기와 자갈들을 밟고 오르면
아침가리골의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게 된다.
기본적인 아침가리 계곡여행은 방동초등학교 조경동분교(폐교)에서 일단락된다.
그곳까지의 직선거리는 3km 그러나 구절양장으로 굽어져 있어 실제 거리는 8㎞가 넘는다.
조경동에서는 방동리쪽으로 다시 오를 수 있다.
아침가리골의 상부에는 창촌과 방동리를 연결하는 산판길이 있지만
차량통행이 어렵다.[옮겨온글]
특별한 버스정류장 이야기
맑은물에 반해버린 이야기
계곡트레킹의 묘미를 맛본다
깊고 미끄럽고 쪼매 겁나는 이야기
즐겁고 행복한 순간이다
가는 시간이 아쉽고 붙잡고 싶었다는 이야기
시원한 이야기
더위야 물럿거라..........
물장구치며 어린시절로 돌아가 본다
ㅎㅎㅎ 아들 딸 손주들이 보면 웃을 이야기
넘 신나고 잼 나서 .......... 행복한 순간이다
겁내지 말구 건너보자.
넘 깨끗한 이야기
내가 만든 작은 幸福
아침가리골에서 올 여름 마지막 물놀이 잘 했다는 이야기
건강하면 다 즐기며 맛볼 수 있는 이야기
유리같이 맑고 깨끗한 아침가리골 계곡의 물 ................
넘 깨끗해서 감히 들어가기 미안한 이야기
아침에 일찍 일어나 들린 낙산사 의상대
들리지는 못하고 밖에서만 살짜기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로서 해변에 위치하며
관동팔경의 하나로 꼽힌다.
낙산은 산스크리트의 보타락가(補陀洛伽 Potalaka)에서 유래한 말이며
관세음보살이 항상 머무는 곳을 뜻한다.
우리나라 3대 관음기도 도량의 하나인 낙산사는 671년(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했다고 전한다.
낙산사 창건 이후 이 절과 관련된
〈삼국유사〉의 기록으로는 원효(元曉), 조신(調信), 사굴산파의 개산조 범일(梵日)의
이야기 등이 전하고 있다.
이 절은 858년 범일에 의해 중건된 후 여러 차례 불타 중건이 거듭되었으나
6·25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었고 1953년과 1976년에 다시 복구해서
원통보전(圓通寶殿)·종각(鐘閣)·일주문·선당(禪堂)·승당(僧堂)·객실(客室) 등의 건물이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유물·유적은 낙산사동종(보물 제479호), 낙산사7층석탑(보물 제499호),
낙산사홍예문(강원도유형문화재 제33호), 낙산사원장(강원도유형문화재 제34호),
낙산사홍련암(강원도유형문화재 제36호),
양양낙산사사리탑(강원도유형문화재 제75호) 등이 있다.
1977년에 화강암으로 만든 동양 최대의 해수관음입상(海水觀音立像)이 있으며,
절 앞에는 의상의 전설이 담긴 홍련암 등이 있다.
그러나 2005년 4월 5일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 발생한 큰 산불로
낙산사원장·원통보전·일주문·낙산사홍예문 등
주요 전각과 낙산사동종이 소실되고, 낙산사 7층석탑이
일부 손상되었다.[다음백과]
#나에일상 #걷고 #보고 #느끼고!!
'산행·트레킹·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닷물이 갈라지는 "모세의기적" 무창포 해수욕장으로 마지막 여름보내러 떠나요*(충남 보령시) (0) | 2016.08.24 |
---|---|
묵호항 논골 담길 벽화마을& 마을에 있는 하얀등대! 동해여행엔 만나보시길~ (강원도 묵호항) (0) | 2016.08.23 |
원대리자작나무 하얀바지에 파란저고리 입은듯! 자작나무숲길 여름도아름답고 멋져라~(강원도 인제군) (0) | 2016.08.23 |
울산에 가면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꼭 들려보길 바래요!! (울산시 남구) (0) | 2016.08.17 |
울산 지붕없는 미술관 [달동네] 신화마을!! (경남 울산시) (0) | 2016.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