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도 이야기
고군산열도의 중심 어장, 장자도 *
고군산군도의 한 섬을 이루고 있다.
힘이 센 장사가 나왔다 하여 장자섬이라 한다.
바다에서 조업을 하다가 폭풍을 만났을 때 이 섬으로 피신하면 안전하다 하여
대피항으로 유명하다.
선유도와는 장자교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섬과 대장도 사이에는 길이 113m의 현수교가 놓여 있다.
장자봉에 올라서 보면 섬의 형태가 '8'자를 닮았으며,
또 장자봉 남쪽에는 남편이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다 바위가 되어 버렸다는 전설의 '장자할머니바위' 라는
둥글고 뾰죽한 바위가 우뚝 솟아 있다.
지금은 선유도와 장자도간 장자교 268m가 놓여있어 왕래가 빈번하다.
섬 전체가 암석 구릉으로 뒤덮여 경지가 드물어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주변 해역은 이웃한 비안도·위도 해역과 같은 어장으로
조기를 비롯한 각종 어족의 회유가 많아 어로활동이 활발하다.
* 선유8경 중 하나인 장자야화 *
예로부터 고군산열도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장자도는
호수 같은 앞바다에 많은 배들이 고기를 잡느라 불야성을 이루는데,
이 풍경을 '장자야화' 라 하여 선유 8경의
하나로 꼽고 있다.[대한민국구석구석]
장자봉이다
시원한 바람에 아니 춥운 바람이다
| |||
장자도 마을 서쪽 바닷가에 우뚝하게 솟은 사자모양의 바위가 있어 '사자바위(일명 장자할머니바위)'라 부르는데 이사자 바위는 서해를 바라보는 형태를 하고 있어 먼 바다로부터 오는 동네 액운을 막아주는 파수역할을 하고 있다고 마을 사람들은 믿고 있다.
장자할머니바위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옛날 장자섬에 선비 한사람이 부인과 아들 하나를 두고 살았는데 어느해 서울로 과거를 보러 선비가 떠나자 그 부인이 매일 산에 올라가 남편의 금의환향를 기다리며 세월을 보냈다.
하루는 남편이 장원급제하여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아들을 등에 업은채 산마루로 달려올라가 남편이 타고오는 배가 빨리와주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드디어 남편이 나타났지만 그 남편은 등과도 하지 못하고 그간 새부인을 맞아 아들까지 낳아서 데리고 왔던 것이다.
그것을 보고 크게 상심하여 돌아서는 순간 등에 업고 있던 아기가 힘을 쓰는 바람에 선채로 돌로 변했다고 한다. 지금은 장자할머니바위에 새끼줄이나 흰천이 둘러져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
5월에 본 선유도 모습이다는 이야기
지난 5월에 본 할매바위다
이번엔 힘들어하는 회원이 있어서 백코스였다
장자봉 올라가는길 우물터
수국꽃이 지고나니 이런 모습으로 남아라 ..
병꽃이다
장자도 장자봉 가는길
해당화꽃
연인끼리 선유도 한바퀴 돌아보기
장자교다
물빠진 선유도 해수욕장 이야기
해질녘 선유도 아름답다
바람이 심하게 불어서인지 물거품이 밀여온다
파도는 물거품을 남기며 ...
흔적
선유도의 망주봉
해가질녘의 선유도
선유도의 넓은 해수욕장
고들빼기 노란꽃
갈대가 단풍들어 헌옷을 입은것처럼 보이는 이야기
갈대습지
주전자 화분 ..
커피나 차를 끓이는 주전자 화분 ..
선유도 선착장에 재활용으로 이렇게 꾸며놓은 이야기
굿아이디어에 박수요
야미도 선착장 해질녘 아름답다
선유도와 장자도는 길이 286m 폭 3m의 다리로 연결돼 있다.
차가 다닐 수 없기 때문에 자전거로 돌아보는 것이 좋다.
장자교에서 서해낙조를 관망하는 것도 좋지만 이왕이면
장자도발전소 언덕으로 몇걸음 더 옮겨보자 섬 사이로 떨어지는 낙조의 황홀경에 취한다.
바다가 연홍빛에서 진홍빛으로 시시각각 변한다.
낙조가 지기 전에 산길을 타고 몽돌밭으로 가보자.
몽돌밭에서 맞는 일몰이
또
다른느낌을 선사한다 [다음팁]
선유도의 망주봉과 장자도의 장자봉 함께한
#걷고 보고 이야기
#전북 #군산시 #선유도 #새만금 #야미도 선착장 #쾌속정 #장자도
# 할매바위 #망주봉 #명사십리 #해수욕장 #스카이썬라이
#나에일상 #걷고 보고
'그·섬에·가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록도는 한센병환자들의 애환이 담겨있는 섬 이다. (전남 고흥군) (0) | 2017.01.11 |
---|---|
군산의 섬 무녀도 선유도에서 보낸 하루는 마음의 휴식!! (전북 군산시) (0) | 2016.12.13 |
고군산군도의 선유도는 아름운 섬! 망주봉에 올라가면 더 멋진 선유도를 볼수있다 (전북 군산시) (0) | 2016.11.30 |
을숙도의 또 다름 모습 에코센터!! (부산시 강서구) (0) | 2016.11.05 |
가덕도 외양포 마을은 일제강점기의 흔적그대로 남아있어 (부산시 강서구) (0) | 2016.11.05 |